북서시리아 공세 (2019년 4월-8월)

북서시리아 공세
이들리브주 무장해제의 일부

2019년 북서시리아 공세
  시리아 정부군
  시리아 반군
  정부군 & 시리아 민주군
날짜2019년 4월 30일- 현재
장소
북서 시리아
결과

진행중

  • 정부군이 카프르 나부다, 칼라트 알마디크를 비롯한 23개 마을 점령[9]
  • 반군이 텔말라와 지빈 점령
교전국

시리아 시리아
러시아 러시아
동맹단체
헤즈볼라 헤즈볼라 (7월부터)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바트 여단
아랍 민족주의 보위단
시리아 저항군
누수르 알자우바
지원국

이란 이란

시리아 자유 시리아군

  • TFSA
  • 자이시 알이자[1]
  • 아라르 알샤키야[2]
  • 해방국민전선

와하리드 알무미닌[3]
TIPS[4][5]
캅카스의 병사들[6]
캅카스 에미레이트[7]
안사르 알샴[8]
아프가니스탄 탈레반[7]
[[파일:|22x20px|border |alt=]] HTS

튀르키예 튀르키예
지휘관

시리아 마헤르 알아사드
시리아 수헤일 알하산
시리아 기아타 달라
러시아 안드레이 세르듀코프
헤즈볼라 하산 나스랄라
팔레스타인 무함마드 타리크
힐랄 힐랄
미흐라치 우랄
알리 하이다르

무함마드 알사이드

시리아 자밀 알살레
시리아 아부 무하지르
[[파일:|22x20px|border |alt=]] 아부 모함마드 알줄라니
[[파일:|22x20px|border |alt=]] 오사마 후세인 알디브
만수르 다게스타니 [6]

안사르 알샴
군대

시리아 아랍군

  • 제4기갑사단
  • 타이거 부대

시리아 공군
러시아 러시아군

해방국민전선

  • 아라르 알샴
  • 샴 군단
  • 자이시 알나스르
  • [[파일:|22x20px|border |alt=]] 제1해안사단
  • 시리아 자유 이들리브군
  • 시리아 엘리트군
  • 시리아 제23사단

와하리드 알무미닌

  • [[파일:|22x20px|border |alt=]] 탄짐 후사르 알딘
  • 안사르 알이슬람
  • 안사르 알딘 전선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 이맘 부카리 자마트

[[파일:|22x20px|border |alt=]] HTS

  • 무자히린 여단
  • 인민저항군
피해 규모
722명 사망 857명 사망
튀르키예 1명 사망[15]
민간인 사상자: 550명 사망
  • v
  • t
  • e
연표
  • 2011년 1월–4월
  • 2011년 5월–8월
  • 2011년 9월–12월
  • 2012년 1월–4월
  • 2012년 5월–8월
  • 2012년 9월–12월
  • 2013년 1월–4월
  • 2013년 5월–12월
  • 2014년 1월–8월
  • 2014년 9월–12월
  • 2015년 1월–8월
  • 2015년 9월–12월

  • 도시
  • 폭격
  • 학살
  • v
  • t
  • e
시리아 민중봉기
(2011년 3월–8월)
  • v
  • t
  • e
반란 초기
(2011년 9월–2012년 4월)
  • 홈스
  • 1차 이들리브 주
    • 터키 국경
    • 자발 알자위야
    • 1차 이들리브 시
    • 사라켑
  • 1차 라스탄
  • 하마 주
  • 다라 주
  • 케르나즈
  • 1차 리프디마슈크 주
    • 1차 자바다니
    • 도우마
  • 1차 데이르에조르
    • 하틀라
  • 알레포 주
    • 아자즈
  • 2차 라스탄
  • 1차 알쿠사이르
  • 2차 이들리브 주
    • 타프타나즈
  • v
  • t
  • e
내전 돌입
(2012년 5월~2013년)
  • 3차 라스탄
  • 훌라
  • 알하파흐
  • 알쿠베이르
  • 알트렘세흐
  • 3차 이들리브 주
  • 1차 다마스쿠스
    • 폭격
  • 알레포
    • 아나단
    • 메나그 공군기지
    • 제46기지
    • 칸 알아살
    • 제1차 알레포 공세
    • 2차 알레포 공세
  • 로자바
    • 라스 알아인
    • 쿠르드-이슬람주의 분쟁
  • 누블·알자흐라
  • 2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다라이야)
  • 아부 알두후르 공군기지
  • 쿠네이트라 주
  • 3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야르무크
    • 2차 다라이야
  • 아크랍
  • 제1차 하마 공세
    • 할파야
  • 1차 사피라
  • 샤다데
  • 2차 다마스쿠스
  • 라카
  • 제1차 다라 공세
  • 4차 리프 디마시크
    • 즈다이뎃 알파들
    • 고우타
  • 알쿠사이르 공세
    • 2차 알쿠사이르
  • 바이다·바니야스
  • 제2차 하마 공세
  • 제1차 라타키아 공세
  • 마로울라
  • 사다드
  • 5차 리프 디마시크
  • 1차 칼라모운
  • 아드라
  • v
  • t
  • e
이슬람주의자들의 성장
(2014년 1월–9월)
  • 반군-IS 분쟁
    • 마르카다
    • 제1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알오타이바
  • 마안
  • 호슨
  • 모레크
  • 제2차 다라 공세
  • 제2차 라타키아 공세
  • 4차 이들리브 주
  • 알말리하
  • 와디데이프
  • 2차 칼라모운
    • 아르살
  • 1차 샤에르 가스전
  • 동부 공세
    • 타브카 공군기지
  • 제3차 하마 공세
  • 제6차 리프 디마시크
  • 제1차 쿠네이트라 공세
  • 코바니
  • v
  • t
  • e
미국 주도 연합군의 개입
(2014년 9월–2015년 9월)
  • 미국 주도의 개입
  • 제3차 다라 공세
  • 제2차 사피라
  • 이들리브 습격
  • 알누스라-혁명전선 분쟁
  • 2차 샤에르 가스전
  • 알샤이크 마스킨
  • 제2차 데이르 에즈조르 공세
  • 제3차 알레포 공세
  • An-26 추락
  • 제4차 다라 공세
  • 남부 공세
  • 동부 하사카 주 공세
  • 1차 사린
  • 하마·홈스 공세
  • 보스라
  • 5차 이들리브 주
    • 2차 이들리브 시
  • 알푸아카프리야
  • 나시브
  • 2차 야르무크
  • 1차 서북부 공세
  • 3차 칼라모운
  • 제1차 팔미라 공세
  • 서부 알하사카흐 공세
  • 1차 하사카
  • 텔아비아드
  • 다라·아스수와이다
  • 제2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사린
  • 제5차 다라 공세
  • 2차 하사카 시
  • 2차 코바니
  • 제4차 알레포 공세
  • 2차 자바다니
  • 제2차 팔미라 공세
  • 알가브 공세
  • 알카라타인
  • 도우마
  • 7차 리프 디마시크
  • 쿠웨이레스 공세
  • v
  • t
  • e
러시아의 개입
(2015년 9월–2016년 3월)
  • 러시아의 개입
  • 제3차 쿠네이트라 공세
  • 2차 서북부 공세
  • 제5차 알레포 공세
  • 마힌
  • 알하울
  • 알샤다디
  • 3차 홈스 공세
  • 제3차 라타키아 공세
  • 제5차 하마 공세
  • 티시린 댐 공세
  • v
  • t
  • e
튀르키예의 개입
(2016년 3월–2017년 2월)
  • 제8차 알라포 공세
  • 제6차 다라
  • 제9차–제11차 알레포 공세
  • 알두마이르
  • 동부 고타 반군 분쟁
  • 카미실리
  • 알레포 폭격
  • 제8차 리프디마슈크
  • 제3차 샤에르 정유소
  • 제1차 북부 라카
  • 자블레 & 타르투스
  • 만비즈
    • 토카르
  • 제2차 이드리야-라카
  • 제9차 리프디마슈크
  • 제12차–제14차 알레포 공세
    • 제12차
    • 제13차
    • 제14차
  • 제4차 라타키아
  • 알부카말
  • 제3차 카미실리
  • 아트메
  • 알라이
  • 제3차 하사카
  • 튀르키예의 개입
  • 제5차 하마
  • 제1차 서부 알바브
  • 동부 카라먼
  • 9월 폭격
  • 제4차 쿠네이트라 공세
  • 데이르에조르 공습
  • 알레포 수송선 공격
  • 제15차 알레포 공세
  • 칸 알신
  •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2차 서부 알바브
  • 제16차 알레포 공세
  • 라카
  • 제17차 알레포 공세
  • 제4차 팔미라
  • v
  • t
  • e
ISIL의 쇠퇴
(2017년 2월~11월)
  • 와디 바라다
  • 제1차 시리아 사막
  • 아자즈 폭격
  • 제5차 팔미라
  • 제4차 데이르에조르
  • 제18차 알레포
  • 제2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7차 다라
  • 카분
  • 제8차 다라
  • 동부 홈스
  • 알지나
  • 제6차 하마
  • 타브카
  • 칸 샤이쿤
  • 샤이라트
  • 알레포 버스 폭발
  • 개입 후 터키 공습
  • 제2차 동부 고타 반군 충돌
  • 제2차 시리아 사막
  • 마스카나
  • 동부 하마
  • 제2차 락까
  • 제9차 다라
  • 남부 라카
  • 이란군 데이르에조르 공습
  • 조바르
  • 제5차 쿠네이트라
  • 중앙 시리아
  • 제3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4차 칼라문
  • 제5차 데이르에조르
  • 동부 시리아 전역
    • 제6차 데이르에조르
    • 유프라테스 도하
    • 마야딘
    • 제2차 부카말
  • 제7차 하마
  • 제2차 터키군 개입
  • v
  • t
  • e
반군 후퇴와 올리브 가지 작전
(2017년 11월~2018년 9월)
  • 북서 시리아 전역
  • 아타리브
  • 하라스타
  • 베이트진
  • 제1차 남부 다마스쿠스
  • 아프린
  • 카샴
  • 2018년 2월 이스라엘-시리아 사건
  • 제10차 리프디슈마크
    • 두마
  • JTS-HTS 갈등
  • 제2차 남부 다마스쿠스
  • 북부 홈스 공세
  • 제2차 동부 칼라문
  • 제3차 남부 다마스쿠스
  • 제8차 데이르에조르
  • 제9차 데이르에조르
  • 수와이다
  • 남부 시리아
  • v
  • t
  • e
이들리브 비무장화
(2018년 9월~2019년 4월)
  • 이들리브 비무장화
    • 이들리브 제5차 반군 충돌
    • 2018년 9월 미사일 공습
  • 동부 유프라테스 공습
  • 시리아 북부 국경
  • 다라 반란
  • 2019년 만비지 자폭 테러
  • 바구즈 파카니
    • 미국 공습
  • v
  • t
  • e
이들리브 공세와 튀르키예의 침공
(2019년 4월~2020년 3월)
  • 이들리브의 새벽
  • 텔리파아트
  • 하스
  • 2019년 시리아 테러
  • 2019년 8월 미사일 공습
  • 평화의 봄
    • 제2차 알아스라인
  • 카일라 멜러 작전
  • 2019년 11월 미사일 공습
  • 이들리브의 새벽 2
    • 바리운
    • 봄의 방패
  • v
  • t
  • e
이들리브 휴전
(2020년 3월~현재)
  • 제6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아인이사
  • 카미실리&알하카사
  • 2021년 1월 미사일 공습
  • 카미실리
  • 제11차 다라
  • 제7차 이들리브 반군 충돌
  • 제3차 알하카사
  • 제1차 알레포 반군 충돌
  • 제벨비슈리
  • 제2차 알레포 반군 충돌
  • 클로 소드
  • 북서시리아
  • 제1차 북동시리아
  • 데이르에조르
  • 제2차 북동시리아
  • 홈스
  • v
  • t
  • e
레바논
    • 국경 충돌
    • 시돈
    • 이란 대사관 폭파
    • 북부 레바논 충돌

튀르키예
    • F-4기 요격사건
    • 레이하늘리
    • 2014년 공습
    • 쿠르드인 폭동

튀르키예-러시아 대치

이스라엘

요르단
    • 2012년 충돌
    • 2014년 공습

이라크
    • 아카샤트
    • 알샤바흐 작전
    • 서부 니나와

유럽의 이슬람 테러리즘

이란
  • v
  • t
  • e

북서시리아 공세, 또는 작전명 이들리브의 새벽(فجر إدلب),[16]은 2019년 4월 30일 시리아 아랍군이 시리아 반군을 상대로 "대 이들리브"로 알려진 북서시리아 지역에서 개시한 작전으로, 넓게는 시리아 내전의 일부이기도 하다.[17][18][19] 대 이들리브는 하마주 북서부와 남부 이들리브주, 그리고 북동 라타키아주로 구성되어 있다. 시리아 정부의 주요 목표는 다마스쿠스-알레포 고속도로를 다시 개통하고, 2015년 이래 반군이 점령한 이들리브 시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하는 것이다.[20] 지상 작전은 상호 진격과 치고 빠지는 공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21] 지상 교전과 간헐적인 포격, 그리고 공습을 통해 교전세력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있다.[22] 양측 모두 이 공세가 전쟁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하다고 여기고 있다.[23][24][25]

현재 시리아 정부군은 칸 샤이쿤을 비롯한 북부 하마주 지역을 점령하였으며, 알탄마를 비롯한 주요 거점을 차지했다.

반응

국제 기구

  • 유엔 유엔 − 유엔 사무총장 안토니우 구테흐스는 "신속한 안정화"를 요구했다. 유엔은 이들리브에 있던 152,000명의 사람들이 공세가 시작된 4월 말부터 이산민이 되었다고 보고했다.[26] 5월 10일 금요일 독일, 벨기에, 쿠웨이트의 요청 하에 5월 10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개최되기로 예정되었었다.[27] 유엔 인권위원회는 5월 18일 시리아 아랍군의 휴전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으나, 분쟁에 개입된 양측을 비판하며 "민간인들을 위험하게 실현가능한 모든 것을 하기"를 촉구했다.[28]

국가

  • 프랑스 프랑스 − 프랑스 대통령 에마뉘엘 마크롱은 폭력의 가속화에 대해 "큰 우려"를 표하며 양측이 유엔 주선의 정치적 해결책을 찾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29]
  • 독일 독일 − 독일 외교부 차관 대변인 크리스토퍼 부르거는 이들리브에서의 폭력 가속화에 대해 비난하며, "우리는 인도주의적 산업시설을 목표로 한 중폭격에 대해 비난한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 자금을 받고 있던 몇몇 시설이 공습의 목표가 되었다는 것과 급조 폭탄에 이 시설이 여러번 공격당했다는 것을 덧붙였다. 부르거는 또한 "[테러리스트 단체에 맞선] 어떠한 군사 행동이라도 국제법을 따라야 하며 민간인들은 보호받아야 한다"라고 말했다.[30]
  • 러시아 러시아 − 러시아 외교부 장관 세르게이 라브로프는 "대부분의 이들리브가 테러리스트 단체들의 통제 하에 있으며, 이들은 민간인들을 목표로 삼는 것을 지속하고 있고, 시리아군에 맞서 도발하고 있다. 이것은 용납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들리브에 있는] 테러리스트들의 둥지가 뿌리뽑혀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덧붙였다.[31][32] 5월 31일, 갱신된 휴전이 실패한 이후, 러시아 정부는 "시리아의 이들리브 주에서 러시아와 민간인 목표를 공격하는 것으로부터 반군을 막을 책임"은 터키의 손에 있으며, 터키가 "협상을 유지하지 않는 것"에 대해 비난했다.[33]
  • 튀르키예 튀르키예 - 터키 국방부 장관인 훌루시 아카르는 시리아군이 아스타나 협정에 따라 역내에서 철수해야 한다고 말하며, 공세는 재앙적인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한다고 주장했다. 아카르는 러시아에게 정부군의 공세를 중단해줄 것을 요구하며 "우리는 러시아가 이들리브 남쪽에서 정부군이 그들의 공격을 멈추고 아스타나 협정에 따른 국경지역으로 되돌아가게 할 효과적이고 결정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덧붙였다.[34]
  • 미국 미국 - 마이크 폼페이오는 공세에 관해 "이들리브에서의 어떠한 주요 작전은 무모한 분쟁의 가속화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른 기관에서는 공세는 그곳에 살고 있는 지역 주민들과 국내 이산민들에게 "재앙적인 시나리오"라고 주장했다.[35] 6월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는 이 학살을 지켜보고 있다. 목적은 무엇이며, 당신은 무엇을 얻을 것인가? 멈춰라!"라고 트윗했다.[36]
  • 인도 인도 - 5월 22일 다마스쿠스로의 공식 방문에서, 인도 외무부의 공무원은 "시리아의 주권과 영토 통합을 존중할 필요성에 대해 다시 확인했음"을 알리며, "모든 종류의 테러리즘"을 비난하고 전후 시리아의 재건을 함께 해 나갈 것을 결의했다는 보고서를 발표했다.[37]
  • 시리아 시리아 - 유엔의 시리아 영구대표인 바샤르 자아파리는 5월 23일 시리아 정부가 "테러리즘과 맞서싸우고 그 위험으로부터 시민들을 보호하는 것을"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시리아 정부가 "테러리스트 단체가 포위하고 있는 지역의 안보와 안정화를 회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유엔 시리아 특별 감찰단과 협력하여 일하고 있음을 덧붙였다.[38]
  • 쿠바 쿠바 - 쿠바 외교부 차관인 아나얀시 로드리게즈 카메요는 "그녀의 국가가 8년간의 테러리스트 전쟁에 직면한 시리아를 확고히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시켰다.[39]
  •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 시리아 외교부 왈리드 알모알렘과 중국 국가부주석 왕치산이 6월 17일 베이징에서 공식 만남을 가졌고, 중국 외교부 장관 왕이를 초대했다. 부주석 왕치산은 중화인민공화국이 [시리아에서] 테러리스트들의 손에 파괴되었던 것을 재건하는 것을 확약했고, 시리아의 주권, 독립성과 영토적 통합에 대한 중국의 지지를 확약했다. 그는 중국이 절대적으로 시리아 국내 문제에 외국이 개입하는 것을 거부한다고 덧붙였다.[40][41]
  • 아르메니아 아르메니아 - 6월 12일부터 15일까지, 아르메니아의 시리아 대사는 공세의 영향을 받은 시리아 북서지역을 방문하고 라타키아주의 주지사와 시리아계 아르메니아인 공동체와 케사브 등을 방문했다. 그는 북서시리아 지역에 위치한 아르메니아 공동체를 대우하는 진심과 관용과 같이 그가 본것에 대해 시리아 정부에게 감사를 표현했다.[42]
  • 벨라루스 벨라루스 - 벨라루스 대사는 벨라루스 독립 기념일인 7월 3일, 벨라루스는 "테러리스트들이 몇 년 간 개시한 공격에 맞선 시리아 인민들 및 지도자들과 함께 언제나 서 있을 것"이라며 지지를 표명했다.[43]
  • 오만 오만 - 오만 외교부 장관 유수프 빈 알라위 빈 압둘라는 시리아 대통령 바샤르 알아사드와 외교부 장관 왈리드 무알렘을 7월 7일 만났다. 비공식 회담에서 오만 외교부 장관은 알라위가 오만의 술탄으로부터 시리아 대통령에게 환영을 전달했으며, "역내 안정화와 안보를 회복하는" 노력을 증강시키는 것과 오만-시리아 관계를 증강시키는 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고 전달되었다.[44][45]

같이 보기

  • 북서시리아 공세 (2019년 12월~2020년 3월)

각주

  1. https://pbs.twimg.com/media/D7LmM9_WkAA00t9?format=jpg&name=900x90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الشرقية, أحرار (2019년 5월 19일). “#تجمع_أحرار_الشرقية #الجيش_الوطني_السوري #الفيلق_الأول انطلاق الدفعة الأولى من مقاتلي تجمع أحرار الشرقية إلى ريفي #إدلب و #حماة للمشاركة في المعارك ضد قوات النظام والمليشيات الإيرانيةpic.twitter.com/yHdz406PWl”. 
  3. calibreobscura (2019년 5월 14일). “Rouse the Believers Operations Room (Coalition of groups) conducted a raid recently, some quite brutal CQB screenshots of a headcam vid were released.” (트윗). 
  4. "Turkistan Party" Threatens Russia with an "Afghan War" in Syria”. 《Enab Baladi》. 2019년 5월 19일. 
  5. “Fighting kills 43 in Syria's northwest: monitor”. 《Agence France-Presse》. 2019년 5월 7일. Twenty-one jihadists, including members of Al-Qaeda's former Syrian branch, Hayat Tahrir al-Sham (HTS), and its ally the Turkistan Islamic Party, were also killed, the war monitor said. 
  6. Joanna Paraszczuk (2019년 5월 22일). “Mansur Dagestani, Amir of Liwa Muhajireen Wal Ansar, Killed in N. Hama”. 《From Chechnya to Syria》. 2019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7. Caleb Weiss (2019년 6월 12일). “Foreign jihadists involved in Hama fighting”. 《Long War Journal》. 2019년 6월 15일에 확인함. 
  8. “كتائب أنصار الشام sa Twitter: "المجاهدون يبدؤن هجوم معاكس على المليشيات الروسية التي دخلت الحار الغربية في كفرنبودة ، والمليشيات تتلقى ضربات موجعة من المجاهدين بعد أن تورطت في حرب شوارع الأفضلية فيها للمجاهدين . الدعاء للمجاهدين"”. 《web.archive.org》. 2019년 5월 10일. 2019년 5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9. After controlling more than 21 areas within the "de-escalation" area, the regime forces bring more military reinforcements to take over more areas, in conjunction with bringing similar reinforcements by the jihadi groups and factions to the area” (영어). Syrian Observatory for Human Rights (SOHR).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10. “Syrian Army Repelled Large Attack On Its Positions In Southeastern Idlib”. 《South Front blog》. 2019년 5월 9일. 2019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1. Desk, News (2019년 5월 8일). “Breaking: Syrian Army begins offensive in northeast Latakia, first area captured”. Al-Masdar News. 2019년 5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2. “In Photos: Russian Military Advisers Support Syrian Army Operation In Northwestern Hama”. 《South Front blog》. 2019년 5월 10일. 2019년 5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3. Desk, News (2019년 5월 10일). “Russian special forces take part in northwestern Hama offensive (photos)”. Al-Masdar News. 2020년 4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4. Desk, News (2019년 5월 1일). “In pictures: Russian snipers deployed near Idlib front as offensive approaches”. Al-Masdar News. 2020년 8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15. “The Turkish forces in Shir Mghar target a checkpoint of the regime forces in the western countryside of Hama by heavy artillery in response to the direct targeting to the Turkish post today evening”. 2019년 6월 29일에 확인함. 
  16. Matveev, Igor (2019년 6월 5일). “Why Syria's territorial divisions complicate reconstruction”. 《Al-Monitor》.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17. “Risk grows of ‘catastrophic humanitarian fallout’ in Syria’s Idlib, where 3 million are trapped: top UN officials urge unity in Security Council”. 《UN News》. 2019년 5월 17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18. “The Banned Bombs Being Dropped on Idlib”. 《Al Bawaba》. 2019년 6월 6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19. “Assad regime likely used chemical weapons in Syria's Idlib, US says”. 《DailySabah》. 2019년 5월 22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20. “Idlib offensive: The view from Damascus”. 《Middle East Institute》. 2019년 6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21. Bulos, Nabih. “Syrian government troops launch an offensive against rebels in the country’s northwest”. 《latimes.com》. 
  22. Desk, News (2019년 6월 4일). “Turkish-backed rebels send reinforcements to Idlib after heavy jihadist losses”. 2019년 6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23. “Why does the battle for Idlib matter?”. 2019년 6월 4일 – www.bbc.com 경유. 
  24. “IntelBrief: Last Stand in Idlib? | The Soufan Group”. 2019년 9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6일에 확인함. 
  25. correspondent, Martin Chulov Middle East (2018년 9월 12일). “Syria conflict: why does Idlib matter and what could happen?” – www.theguardian.com 경유. 
  26. “Syria war: More than 150,000 people displaced in one week says UN”. 《SBS News》.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27. “UN Security Council to meet Friday on Syria's Idlib”. 《Arab News》. 2019년 5월 8일.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28. “OHCHR | Press briefing note on Idlib”. 《www.ohchr.org》. 2019년 5월 21일에 확인함. 
  29. “France's Macron concerned by Syrian strikes in Idlib”. 《Reuters》. 2019년 5월 7일.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30. “Germany condemns airstrikes on Syria’s Idlib”. 《Middle East Monitor》. 2019년 5월 8일. 
  31. shaza (2019년 5월 8일). “Lavrov: Terrorism hotbeds must be eliminated in Idleb”. 《Syrian Arab News Agency》. 2019년 5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32. “Nest of terrorists in Idlib, Syria should be uprooted – Lavrov”. 《RT International》. 2019년 5월 8일에 확인함. 
  33. “Kremlin says it’s Turkey’s responsibility to stop rebels in Syria’s Idlib from firing on civilian, Russian targets”. 《The Globe and Mail》. 2019년 5월 31일. 2019년 5월 31일에 확인함. 
  34. “Turkish defense minister says Syrian forces must halt attacks in...”. 2019년 5월 10일 – www.reuters.com 경유. 
  35. “Pompeo ‘very excited’ about Syria talks with Putin”. 《Washington Examiner》. 2019년 5월 15일. 
  36. “Trump tells Syria, Russia to stop bombing rebel-held Idlib”. Al Jazeera. 2019년 6월 3일. 2019년 6월 3일에 확인함. 
  37. “Visit of Secretary (ER) and Joint Secretary (WANA) to Damascus, Syria (May 19-21, 2019)”. 《www.mea.gov.in》. 2019년 5월 23일에 확인함. 
  38. m.eyon (2019년 5월 23일). “Al-Jaafari: Syria will continue fighting terrorism and protecting citizens from its danger”. 《Syrian Arab News Agency》. 2019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3일에 확인함. 
  39. m.eyon (2019년 5월 25일). “Cuba reiterates support to Syria against terrorism”. 《Syrian Arab News Agency》. 2019년 5월 2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5월 29일에 확인함. 
  40. ruaa-jazaeri (2019년 6월 17일). “China affirms continued support to Syria in bilateral relations, international forums”. 《Syrian Arab News Agency》 (미국 영어). 2019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7일에 확인함. 
  41. “Muallem in Beijing to Discuss Relations Between Syria and China”. 《The Syrian Observer》. 2019년 6월 17일. 2019년 6월 17일에 확인함. 
  42. “Armenia Ambassador visits Syrian regions, including Kessab”. 《news.am》 (영어). 2019년 6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6월 17일에 확인함. 
  43. ruaa-jazaeri (2019년 7월 2일). “Belarusian Ambassador calls for invigorating cooperation and friendship with Syria”. 《Syrian Arab News Agency》 (미국 영어). 2019년 7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7월 3일에 확인함. 
  44. “Omani foreign minister makes rare visit to Syria”. 《AP NEWS》. 2019년 7월 7일.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 
  45. “Alawi conveys His Majesty’s greetings to Assad”. 《Times of Oman》 (영어). 2019년 7월 7일. 2019년 7월 7일에 확인함.